데이터 기반 연구의 클래식을 만나다
발과 펜끝으로 기록한 한국사회, 1950-70s
종이 위에 꾹꾹 눌러쓴 빈도표와 무허가주택 지도가 그려진 필드 노트. 데이터를 품어주었던 마그네틱 릴 테이프. KOSSDA는 오래된 아날로그 자료들을 디지털로 전환하여 장기적인 보관과 활용이 가능하도록 아카이빙 해 왔습니다. 디지털이 지배하기 전 그 시절 데이터 생태계의 감성과 추억을 소환합니다.
1. 관악캠퍼스 주변 무허가판자촌 서울 외곽 도시민 현지조사 기록, 1971
서울대 관악캠퍼스가 들어서기 이전 우리가 일상으로 거닐고 지나는 캠퍼스의 인근 지역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서울대학교 종합화 계획이 확정되고 관악산 서북지역에서 기공식이 있던 해인 1971년 이 지역을 현지 조사하여 노트에 지도를 그리고 인터뷰 내용을 손으로 한 자 한 자 적어 내려간 기록을 통해 우리는 당시 모습을 복원해 볼 수 있습니다.
당시 서울대학교 부지와 인근은 영등포구 관할이었고 1964년 전후 서울시가 무허가판자촌 정리 정책의 일환으로 도심지역 철거민을 이 지역으로 이주시키면서 무허가주택이 형성되었습니다. 1962년 허가 이주로 자리 잡은 영등포구 신림1동과 같은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무허가로 이 지역 주민들은 브로크 벽돌과 루핑 지붕, 판자, 천막, 움막 형태의 주택에 살았고 직업은 대부분이 노동자로 평균 15분 멀게는 30분 거리로 떨어진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타고 영등포와 서울역 등 서울 도심으로 일을 다니는 서울 외곽 도시민으로서의 삶을 살았습니다.
이 현지조사 기록의 재미는 통장, 반장, 복덕방주인, 목사 등 지역 사정을 잘 알고 있는 제보자를 인터뷰하여 정리한 구조화된 면접 내용에서도 발견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당시 항공사진 지도와 견주어 봐도 손색이 없는 직접 두 발로 거닐며 관찰로 작성한 지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2. 경기도 6개 마을 시계열 조사 기록 시민 한국 농촌의 사회구조 연구, 1958~1980
이 조사는 “농촌분야에 대한 최초의 조사”로 기록되어 있습니다(이만갑, 1973). 이만갑 교수는 농지개혁으로 농민의 약 3분의 2가 자작농이 되었음에도 가난한 생활을 면치 못하는 상황에 주목하고 과학적 사회조사방법을 도입하여 실증적인 농촌 연구를 하고자 하였습니다. 이에 1958년 경기도 광주군과 용인군 소재 6개 마을(현재의 성남 남쪽 지역과 모란시장 동쪽 부근, 분당 동남 지역)을 선정하고 1958년, 1969년, 1980년 약 10년 간격으로 한국 농촌사회의 변화를 추적 조사한 이 연구는 시계열 현지조사의 전형을 보여줍니다.
동일 문항의 조사표를 가지고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약 30년간의 농촌사회의 변화를 기록한 이 연구는 “한국의 역사상 일찍이 없었던 급격한 변동기를 관찰한 것(이만갑, 1984)”으로 새마을운동의 영향, 공업화와 도시화로의 변동을 추적해서 살펴볼 수 있는 사례를 제공합니다.
전시는 문헌조사부터 시작하여 지역통계조사, 마을지도 작성, 마을 반별 가구주 조사, 파일럿 스터디 보고 개요, 조사표와 통계표, 본조사 기록으로 이어집니다. 컴퓨터와 인터넷이 없던 시절 손으로 적어 작성한 현지 조사 기록물을 통해 아날로그 감성에 더하여 디지털세대인 우리가 나아간 것 혹은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기를 바랍니다.
출처: 이만갑. (1973). 한국 농촌사회의 구조와 변화. 서울대학교출판부.
이만갑. (1984). 공업발전과 한국 농촌. 서울대학교출판부.
3. 1960-70년대 출산률 조사 혼합 연구 한국 중간도시 이천읍사례, 1965·1974
한국의 인구정책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습니다. 정부는 1962년부터 70년대까지 산아제한을 목표로 가족계획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가족계획정책을 어떻게 받아들였을까요? 이 정책의 효과는 어느 정도였을까요?
서울대학교 인구 및 발전문제연구소(현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는 한국 이천읍에서 1965년과 1974년 약 10년의 시차를 두고 차별출산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또 이들 중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대상자를 선정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습니다. 가족과 결혼, 출산과 부부관계 등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과 함께 연구자가 노트에 빼곡하게 적은 인터뷰 기록을 통해 우리는 당시 이촌읍 거주 기혼여성의 짧은 생애사를 엿볼 수 있습니다.
특별히 이번 전시에서는 KOSSDA 구축 자료에는 포함되지 않은 연구보조원의 현지조사 노트를 공개합니다. 필드노트에는 이제는 널리 알려진 학자이지만 당시에는 연구보조원이었던 서울대 학생들의 조사 계획과 일정, 연구 관련 강연과 세미나 메모 등의 기록이 담겨있습니다.
이 조사는 체계적인 연구계획하에 완성도있게 수행되었지만, 당시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그 가치를 충분히 발현하지 못했습니다. 권태환 교수의 회고처럼 “사회통계의 미발달과 자료처리 분석도구의 심각한 결핍”으로 인해 대부분의 분석이 단순한 빈도표 작성에 그칠 수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 인구문제가 화두인 지금, 당면한 연구질문과 발전된 현대의 분석 도구로 이 자료를 다시 들여다본다면 우리는 한국 사회 변동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와 통찰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요?
출처: 권태환. (2006). 사회조사와 한국사회학. (미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