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의 추천 데이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국내외/ 연구 분야를 막론하고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습니다. 수많은 데이터의 바다에서 의미있는 질문과 대답을 찾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선택의 폭이 넓으면 선택이 더 어렵다는 ‘선택의 역설’이 발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행사는 전문가가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준과 방법을 공유하고 전문가가 추천하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데이터를 고르는 안목을 기르는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 좋은 데이터란?
개인 및 사회 현상에 대한 횡단 종단적 포괄적 이해가 가능한 데이터
❚ 교수님의 추천 데이터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 추천 이유
미국 NIA 주도로 시작된 HRS(Health & Retirement Study)의 한국판으로 중국, 일본, 유럽에 유사 데이터 수집을 하고 있어 국제비교가 가능함
❚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는 고령화 정책 및 제도 연구에 활용될 기초자료를 생산하기 위해 2006년부터 시행해온 대규모 조사연구 사업이다. KLoSA는 만 45세 이상의 중고령자들로 구성된 10,254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기본조사와 특별조사로 나뉘어 실시된다. 중고령자의 고용현황과 소득수준 및 자산규모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가족관계와 건강, 주관적인 의식 세계를 파악하는 항목들을 포함함으로써 노동경제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보건학, 가족학, 노년학 등 다학제적 연구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현재 2006, 2008년 자료는 KOSSDA 웹사이트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 좋은 데이터란?
연구문제에 적합한 데이터로 적실성, 신뢰성, 타당성이 높은 데이터
❚ 교수님의 추천 데이터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
- World Bank, 세계개발지표
❚ 추천 이유
높은 신뢰성과 자료의 접근성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은 국내·국제·북한의 주요 통계를 한곳에 모아 이용자가 원하는 통계를 한 번에 찾을 수 있도록 One-Stop 통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400여 개 기관이 작성하는 경제·사회·환경에 관한 모든 국가승인통계를 수록하고 있으며, 국제금융·경제에 관한 IMF, World bank, OECD 등의 최신 통계도 제공하고 있다.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Economic Statistics System)에는 한국은행이 생산하는 통계 494개뿐만 아니라 여러 통계 작성기관들이 만든 경제통계들 중에서 정책수립이나 동향분석에 유용한 지표들을 포함하는 총 596개의 통계표가 수록되어 있다. 현재 통화·금융, 국민계정, 환율·통관수출입 외환보유액, 물가, 기업경영분석, 심리지수, 지급결제, 산업·가계·기타, 해외·북한 9개 부문의 통계와 부가적으로 한국경제를 이해하기 좋은 100대 통계지표, 지역통계, 시각화 통계 등을 제공하고 있다.
❚ World Bank, 세계개발지표
World Bank의 세계개발지표(WDI: World Development Indicators)는 217개 경제와 40개 이상의 국가 그룹을 대상으로 개발 및 빈곤 퇴치와 관련이 있는 국제적으로 비교 가능한 1,400여 개의 시계열 지표를 제공한다. 데이터의 테마는 빈곤과 불평등, 사람들, 환경, 경제, 국가와 시장, 글로벌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 좋은 데이터란?
다양한 데이터와 연계가능한 데이터
❚ 교수님의 추천 데이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 추천 이유
다른 자료들과 연결하여 다양한 새로운 시도가 가능함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통계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선거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현재 실시 중인 선거현황과 대통령선거, 지방선거 등 역대선거의 투표율, 후보자·당선인 명단, 개표현황 등 선거의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개표 집계자료는 사전투표율 변동추이, 사전투표현황, 투표율 변동추이, 투표현황, 개표현황 등을 제공한다.

❚ 좋은 데이터란?
정확하고, 많은 사람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는 데이터
❚ 교수님의 추천 데이터
UNESCO 통계연구소
❚ 추천 이유
국제적 통용력이 높은 데이터
❚ UNESCO 통계연구소
UNESCO 통계연구소(UIS: Institute for Statistics)는 1970년부터 사용 가능한 가장 최신의 20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의 교육과 문해, 과학기술과 혁신, 문화, 커뮤니케이션과 정보에 대한 국제적으로 비교 가능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유네스코의 공식 통계 기관인 UIS는 국가 통계청, 부처 및 기타 통계 기관과 협력하여 유네스코의 활동 분야에서 광범위한 지표를 생성하고 있다.

❚ 좋은 데이터란?
다른 나라 혹은 다른 시기와 비교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고, 이후로도 많은 조사와 연구가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데이터
❚ 교수님의 추천 데이터
현대 한국인의 의식과 관행 조사, 1998
❚ 추천 이유
- 미국 GSS(General Social Survey)의 자기중심 연결망 모듈(egocentric network module)과 비교 가능하게 조사한 한국 최초의 설문
- 인류학, 사회학, 심리학 연구자들의 협동연구로 기획
- 2차 분석한 The social networks of Koreans(J Yee, Korea Journal 40-1, 325-352)은 google scholar에 의하면 137회 다른 연구에 인용됨
❚ 현대 한국인의 의식과 관행 조사, 1998
이 조사는 한국인들의 의식과 관행, 그에 연관된 사회관계 및 시민공동체와의 관계 그리고 사회연결망의 유형에 대한 다양한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사회적 자본의 축적 정도와 양상이 어떻게 전통적 가치와 근대적 조직 사이의 병립 내지 상충 관계가 되는지를 조사한 것이다.

❚ 좋은 데이터란?
대표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는 행정 빅데이터
❚ 교수님의 추천 데이터
- 국민건강보험자료 공유서비스, NHISS
- 고용노동데이터 분석시스템, ELDS
- 통계데이터센터, SDC
❚ 추천 이유
자료의 대표성과 정확성이 높고 미시적 연구가 가능한 빅데이터
❚ 국민건강보험자료 공유서비스, NHISS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전 국민의 출생에서 사망까지 가입자 자격과 보험료 정보, 병·의원 진료내역과 건강검진결과, 의료급여와 노인장기요양자료 등 국민건강보험제도 운영 과정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연구 목적으로 국민건강보험자료 공유서비스(NHISS: National Health Insurance Sharing Service)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2002년도부터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연구용 자료는 크게 맞춤형연구 DB와 표본연구 DB로 제공되고 있다.
❚ 고용노동데이터 분석시스템, ELDS
고용노동부는 구인·구직·취업, 고용보험·실업급여, 직업훈련 등 보유하고 있는 고용.노동 관련 행정데이터를 정책적, 학술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고용노동데이터 분석시스템(ELDS: Employment and Labor Data System)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현재 공공용 데이터 13종과 인가용 기본형 데이터 31종 및 인가용 맞춤형 데이터셋 등을 이용할 수 있다.
❚ 통계데이터센터, SDC
통계청은 인구·경제 등 통계 작성 목적으로 구축한 모집단 자료인 통계등록부를 다양한 데이터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통계데이터센터(SDC: Statistics Data Center)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SDC에서는 행정통계자료 17종, 민간자료 35종 등 합계 52종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서울, 대구, 광주, 부산, 대전, 세종, 제주에 분석센터를 운영 중이다.